본문 바로가기

자료구조2

[Data Structure] 자료구조 - 2 (그래프, 트리, 해쉬) 그래프 (Graph) - *정점(Vertices)와 *간선(Edge)로 구성됨 - 무방향(Undirected)과 방향(Directed) 그래프 2가지의 형태가 존재함 - 방향 그래프의 경우 다음 노드를 탐색할 때 지정한 경로밖에 갈 수 없음 - 필요에 따라 노드의 추가, 삭제가 용이함 * 정점(Vertices) : 노드(Node)라고도 하며, 탐색이 가능한 각 지점들을 의미함 (아래 사진의 A, B, C, D) * 간선(Edge) : 각 정점에 연결된 경로를 의미함 (아래 사진의 AB, AD ... DB) ※ 방향그래프의 경우 정점 D에서 시작 했을 때 다음 탐색 경로는 정점 B이다. 방향성과 무방향성 그래프 트리 (Tree) - 계층적 자료구조 형태 - 필요에 따라 노드의 추가, 삭제가 용이함 - 각 .. 2021. 12. 30.
[Data Structure] 자료구조 - 1 (배열, 스택, 큐, 연결 리스트) 배열 (Array) - 메모리를 미리 확보하여 데이터 공간을 생성함 - 선언한 크기 이상으로 확장이 어려움 - 각 셀에는 인덱스 번호가 부여되며, 인덱스 번호 기준으로 데이터의 수정이 이루어짐 - 데이터 조회, 정렬에 용이한 구조 스택 (Stack) - 메모리를 동적으로 할당하여 데이터 공간을 생성함 - FILO(First In Last Out) 메커니즘으로 동작함 * FILO(First In Last Out) : 처음에 넣은 데이터는 가장 마지막에 조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, 필요할 때 마다 위에서부터 접시를 하나씩 빼서 쓰는 것과 같은 원리임 ※ 아래 사진은 스택에 데이터 A, B 가 이미 들어있다고 가정하고 각 순서에 맞게 데이터를 PUSH, POP 한 경우임 최종 출력 순서는 가장 마지막에 .. 2021. 12. 29.